{@ $extraLeft_WIDTH = $layout_info->extraLeft_WIDTH; $extraRight_WIDTH = $layout_info->extraRight_WIDTH; } {@ $extraLeft_WIDTH = 200 }{@ $extraLeft_WIDTH += 10 }{@ $extraLeft_WIDTH = "0"} {@ $extraRight_WIDTH = 200 }{@ $extraRight_WIDTH += 10 }{@ $extraRight_WIDTH = "0"} {@ $SDKv6_board_name = explode("\n",$layout_info->board_name); } {@ $SDKv6_board_set = explode("/",$SDKv6_board_name[$key])} {@ $SDKv6_colorset = $SDKv6_board_set[1]} {@ $SDKv6_colW_a = $SDKv6_board_set[2]} {@ $SDKv6_colW_a = "700" } {@ $SDKv6_colW_a = "600" } {@ $SDKv6_colW_a = "550" } {@ $SDKv6_colW_b = "160"; // 오른쪽메뉴를 출력하는 곳의 넓이(이 넓이를 수정할 경우 레이아웃 자체로그인폼 삭제바람) $SDKv6_OutlineWidth = 1+23+$SDKv6_colW_a+24+16+13+6+$SDKv6_colW_b+9+29+1+$extraLeft_WIDTH+$extraRight_WIDTH; // 레이아웃 전체 넓이(수정하지마시오) $SDKv6_Member_prWidth = (16+13+6+$SDKv6_colW_b+9+29)-(10+104); // 로그인정보가 출력되는 곳의 넓이(수정하지마시오) $djgumArray = array('message','font','screen','padding','set','menu','menu_a','menu_b','menu_c','menu_d','gap'); // (수정하지마시오) $djgumACTArray = array('dispLayoutAdminEdit','dispBoardAdminBoardInfo','dispBoardAdminCategoryInfo','dispBoardAdminExtraVars','dispBoardAdminListSetup','dispBoardAdminGrantInfo','dispBoardAdminBoardAdditionSetup','dispBoardAdminSkinInfo'); }
{$layout_info->setup_message_output?$layout_info->setup_message_output:'메세지를 등록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 $SDKv6_count0++}{@ $SDKv6_count0++}{@ $SDKv6_count0++}{@ $SDKv6_count1++}{@ $SDKv6_count0++}{@ $SDKv6_count1++}{@ $SDKv6_count0++}{@ $SDKv6_count1++}{@ $SDKv6_count0++}{@ $SDKv6_count2++}{@ $SDKv6_count0++}{@ $SDKv6_count2++}{@ $SDKv6_count0++}{@ $SDKv6_count2++}{@ $SDKv6_count0++}{@ $SDKv6_count2++}{@ $SDKv6_count0++}{@ $SDKv6_count2++}{@ $SDKv6_count0++}{@ $SDKv6_count2++}{@ $SDKv6_count0++}{@ $SDKv6_count0++} {@ $SDKv6_count0++}
PREVIEW_T" colspan="{$SDKv6_count0}" style="height:auto">{$layout_info->extraTop}
PREVIEW_L" rowspan="3">{$layout_info->extraLeft}
MenuTop_W)--> style="width:{$layout_info->MenuTop_W}px">
PREVIEW_R" rowspan="3">{$layout_info->extraRight}
{$content}
  • {$logged_info->nick_name}
{@ $idx = 1; $SDKv6_OnCategory_exp = explode("\n",$layout_info->OnCategory); $SDKv6_depth_CateWidth_exp = explode("\n",$layout_info->depth_CateWidth); $SDKv6_MainMenu2List_exp = explode("+/END/+",$layout_info->MainMenu2List); } {@ $SDKv6_MainMenu2List_exp1 = explode("/@/",$____col); }
{@ $SDKv6_OnCategory_exp1 = explode("/",$_____col); $SDKv6_OnCategory_exp2 = explode(",",$SDKv6_OnCategory_exp1[1]); } / {$k}">{$_col->title} ({$_col->document_count})
$______col)-->{@ $SDKv6_depth_CateWidth_exp1 = explode("/",$______col); }{@ $SDKv6_depth_CateWidth_exp2 = explode(",",$SDKv6_depth_CateWidth_exp1[0]); } style="width:{$SDKv6_depth_CateWidth_exp1[1]?$SDKv6_depth_CateWidth_exp1[1]:'50%'}"> / {$k}">{$_col->title} ({$_col->document_count})
{@$idx++} {@ $SDKv6_MenuTop_exp0 = explode("+/END/+",$layout_info->MenuTop); } {@ $SDKv6_MenuTop_exp1 = explode("+/CONTENT/+", $val); // 내용 $SDKv6_MenuTop_exp2 = explode("+/TITLE/+",$SDKv6_MenuTop_exp1[0]); // 제목 $SDKv6_MenuTop_exp3 = explode("/",$SDKv6_MenuTop_exp2[0]); // 0그룹, 1모듈, 2출력 $SDKv6_MenuTop_exp4 = explode(",",$SDKv6_MenuTop_exp3[0]); // 그룹 $SDKv6_MenuTop_exp5 = explode(",",$SDKv6_MenuTop_exp3[1]); // 모듈 } {@ $djgum_c[$key]++}
{$lang_supported[$lang_type]} Select Language
PREVIEW_B" colspan="{$SDKv6_count0}" style="height:auto">{$layout_info->extraBottom}
{$content}
{@ $SDKv6_comma = "," }

레이아웃의 폰트를 변경하려면?
_css/font_family.css 문서를 열고 주석을 참고하여 수정하세요. 색상변경은 각 컬러의 css 문서를 편집하시면 됩니다.

[ENTER]
레이아웃 설정화면을 보면 [ENTER]라는 단어가 있는 설명이 3곳 있습니다. 한번 찾아보세요 ... ... [ENTER]라고 표시된 곳에서는 새로운 설정을 추가할 때 ENTER로 한줄을 내려서 하라는 뜻입니다. 설명에 (엔터치지 마세요)라고 되어있는 곳에서는 엔터치지마세요 -_-;;

필수 설정사항은?
로고, 상단 1차메뉴, 여백입니다. 그 밖의 것은 사용에 문제가 없다면 굳이 설정하지 않아도 되며, 말씀드린 사항만 설정한 경우 기본색상과 기본넓이로 보여드립니다. 자세한 사항은 도움말 메뉴의 상단,하단 메뉴항목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갑자기 레이아웃이 안보일 때
화면을 넓게 보기 위한 것으로 레이아웃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정상입니다.

배경 바꾸기
경로를 수정하려면 _css 폴더 안에 있는 각 컬러의 css 문서를 열고 body 속성을 변경하세요. 이미지 패치의 경우 images 폴더안에 있는 각 컬러의 폴더를 열면 bg라는 폴더가 있습니다. bg폴더 안에 1.gif라는 이미지가 있죠? 그 이름으로 업로드 하시면 됩니다.

사용되는 색상 (파스텔톤)
purple,pink,black,green,red,blue


제작자의 작업해상도1680*1050 입니다. VirtualBox를 통해 IE6에서 도움말이 출력되는 화면을 확인해 봤더니 레이어메뉴가 도움말을 가리더군요. 정확히 말씀드리자면, 메뉴가 가리는 것이 아니라 화면이 작아서 도움말이 모두 보이지 않는 것이지요. 가상사이트로 확인한 것이라 실제로 나타나는 현상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해상도가 다를 경우 도움말이 안보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설명을 드립니다. 아래와 같은 주석이 한 곳있으니 검색해보세요.
<!--// 설명 -->
말씀드린 주석 바로 아래를 보시면 DIV align="center" 라는 행이 있는데, centerleft로 변경하시면 왼쪽정렬이 되면서 설명이 모두 보일 것입니다..

레이아웃 도움말을 삭제하려면?
아래의 주석부터
<!--// 최고관리자에게만 보여주는 설정메뉴S -->
아래의 주석까지 삭제하시면 됩니다.
<!--// 최고관리자에게만 보여주는 설정메뉴E -->


게시판이 출력되는 곳의 여백설정은 _css/common.css 문서를 열고 #SDKv6 tr.MiddleContent td.MC_2 .LayoutConT 코드를 검색하여 padding값을 변경하면 됩니다. padding:위 오른쪽 아래 왼쪽; 순서로 수정하세요.

설정하지 않으면    기본넓이 : 550 px, 기본색상 : purple

색상목록    purple, pink, black, green, red, blue

(-) 상단 1차메뉴의 가운데 정렬
레이아웃 관리에서 상단1차메뉴의 넓이(px)항목에 상단 1차메뉴에 설정할 넓이를 등록해야 가운데 정렬이 됩니다. 설정하지 않으면 왼쪽정렬이 기본입니다.

(-) 상,하단 1차메뉴의 기본 높이
상단 1차메뉴의 기본설정은 높이 9px 의 이미지에 최적화 되어 있고, 하단 1차메뉴의 기본설정은 높이 25px 의 이미지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제작한 이미지의 높이가 다르거나, 문자열로 메뉴를 출력할 때에 여백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으면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 보세요.

(1) 상단 1차메뉴
_css/common.css 문서를 열고 /* (상단) */ 이라는 주석을 찾아 원하는 부분의 속성을 수정하시면 됩니다. 코드가 끝나는 부분에 주석이 많이 추가되어 있으니 설정해야 할 곳을 잘 살펴보세요.

(2) 하단 1차메뉴
_css/common.css 문서를 열고 /* (하단) */ 이라는 주석을 찾아 원하는 부분의 속성을 수정하세요.
(2-1) CCL라이센스와 로그아웃버튼 등록하는 방법
위의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하단메뉴로 등록한 것입니다. 사용할 이미지는 images/icon/ 폴더에 있으니 활용해 보시고, 그림대로 하단 1차메뉴로 CCL라이센스와 로그아웃버튼을 등록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이트설정 >> 메뉴 탭에서 하단메뉴로 등록할 메뉴를 생성한 후 메뉴관리 화면으로 들어가보세요. float:right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면대로 하려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왼쪽에 출력할 버튼부터 등록해야합니다.

(2-2) 로그아웃 버튼
연결 url을 아래와 같이 설정하시고 (모듈이름에는 로그아웃 후 보여줄 모듈이름을 넣으세요)
{getUrl()}?mid=모듈이름&act=dispMemberLogout
이미지 버튼은 알려드린 폴더에 있는 이미지를 등록하거나 직접 제작하시면 됩니다. 일반(회색아이콘), 마우스오버(파랑아이콘)의 2가지 아이콘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그룹 제한에 있는 그룹을 모두 체크하세요. 그래야 로그아웃시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2-3) CCL라이센스 버튼
등록된 이미지와 같은 것으로 이용하려면 아래와 같이 하시고, 다른 라이센스를 사용하려면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연결 url을 아래와 같이 설정 후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새 창 열기에 체크하세요. 이미지 버튼의 일반은 회색, 마우스오버는 붉은색아이콘입니다. 지금까지의 설정을 모두 마쳤으면 레이아웃관리에서 하단메뉴를 선택 후에 저장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3) 상단 2차메뉴
선택되지 않은 상태의 2차메뉴입니다. 상단 2차메뉴는 문자열출력을 기본으로 제작되었습니다. 폰트스타일을 수정하려면 _css/font_family.css 문서를 열고 /* 상단 2차메뉴 */라는 주석을 찾아 변경하세요.

(4) 상단 2차메뉴
선택되었을 때의 메뉴입니다.

(5) 상단 2차메뉴 - 상위카테고리
모듈에 상위카테고리가 있으면 출력됩니다.

(6) 상단 2차메뉴 - 하위카테고리
모듈에 하위카테고리가 있으면 출력됩니다.

이것은 상단 2차메뉴의 아래에 설명을 출력하는 기능입니다. 2차메뉴의번호/@/내용+/END/+ 순으로 등록하며, 다수일 경우 그림과 같이합니다. HTML 사용은 상관없으나 ENTER는 사용하지 마세요!

아래는 등록된 메뉴의 설명입니다 구분기호가 있어야 할 곳은 색상처리 되어 있으니, 잘못 된 곳이 있으면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SDKv6_MainMenu2List_exp = explode("+/END/+",$layout_info->MainMenu2List); }

{@ $SDKv6_MainMenu2List_exp1 = explode("/@/",$_col); }{htmlspecialchars($SDKv6_MainMenu2List_exp1[0])}/@/{htmlspecialchars($SDKv6_MainMenu2List_exp1[1])}+/END/+

이 기능은 1번과 2번의 차이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체크된 곳을 유심히 살펴보세요. 하위카테고리 선택시 상위 카테고리에 돋보기 이미지를 표시합니다. 상위카테고리번호/하위카테고리번호 순으로 등록하며, 하위카테고리가 다수일경우 그림과 같이 쉼표(,)를 이용합니다. 상위카테고리가 다수일 경우에는 ENTER로 한줄을 내려 입력하면 됩니다.

아래에서 하위카테고리가 있는 것만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세요. 카테고리가 등록되지 않은 모듈의 경우, 숫자들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

{@ $c_20100105++}
{trim($k)}/{@ $_20100105_array = array($k,",") }{trim($___col)}

{@ $SDKv6_OnCategory_exp = explode("\n",$layout_info->OnCategory); }

아래는 등록된 카테고리입니다. 중복되지 않는지 검색해보세요.

{@ $SDKv6_OnCategory_exp1 = explode("/",$__col); }{@ $c_20100105_++}
{trim($SDKv6_OnCategory_exp1[0])}/{@ $_c_20100105_array = array($SDKv6_OnCategory_exp1[1]) }{trim($____col)}

위의 그림과 같이 하위카테고리의 넓이를 mid 별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모듈이름/하위카테고리의 넓이(단위포함)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하며, 모듈이름이 여러개일 경우쉼표를 이용하여 복수등록하면 됩니다. 하위카테고리의 넓이를 달리할 모듈이라면 ENTER로 한 줄을 내려 등록하세요. 위의 이미지샷을 참고하여 작성해 보시기 바랍니다. (하위카테고리 기본넓이는 50%)

{@ $c_SDKv6_menu_d++}{$c_SDKv6_menu_d}. 설정방법 - 아래와 같은 순서로 등록합니다.

그룹/모듈이름/출력설정+/TITLE/+제목+/CONTENT/+내용+/END/+

=>  그룹과 모듈이름 : 쉼표를 이용하여 복수등록이 가능합니다.
=>  출력설정 : N(출력안함) or Y(출력) or PREVIEW(미리보기)
=>  예제{@ $ex_SDKv6_menu_d++}{$ex_SDKv6_menu_d} : 아래와 같다면?
WIN,CAD2/v6news,pbp/Y+/TITLE/+Article Ranking+/CONTENT/+출력할 위젯이나 문장+/END/+
WIN과 CAD2그룹에게 v6news와 pbp라는 모듈에서 제목과 내용을 보여줍니다.
=>  예제{@ $ex_SDKv6_menu_d++}{$ex_SDKv6_menu_d} : 그룹제한을 하고 싶지 않다면 아래와 같이
/v6news,pbp/Y+/TITLE/+Article Ranking+/CONTENT/+출력할 위젯이나 문장+/END/+
=>  예제{@ $ex_SDKv6_menu_d++}{$ex_SDKv6_menu_d} : 모듈제한을 하고 싶지 않다면 아래와 같이
WIN,CAD2//Y+/TITLE/+Article Ranking+/CONTENT/+출력할 위젯이나 문장+/END/+
=>  예제{@ $ex_SDKv6_menu_d++}{$ex_SDKv6_menu_d} : 모든곳에 출력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Y+/TITLE/+Article Ranking+/CONTENT/+출력할 위젯이나 문장+/END/+
위의 예제와 같은 방법으로 응용하시면 됩니다. 앞서 설명드린 것은 레이아웃관리에서 설정하는 방법이고, 이 방법이 어려운 분은 레이아웃을 직접 편집하시면 됩니다. PREVIEW로 설정되었을 경우, 제목에 마우스를 올리면 미리보기라는 풍선글이 보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c_SDKv6_menu_d++}{$c_SDKv6_menu_d}. 아래는 등록된 메뉴입니다. 마우스오버시 나타나는 노란색줄이 각 설정입니다.{@ $SDKv6_MenuTop_exp0 = explode("+/END/+",$layout_info->MenuTop); }

{@ $SDKv6_MenuTop_exp1 = explode("+/CONTENT/+", $val); $SDKv6_MenuTop_exp2 = explode("+/TITLE/+",$SDKv6_MenuTop_exp1[0]); $SDKv6_MenuTop_exp3 = explode("/",$SDKv6_MenuTop_exp2[0]); $SDKv6_MenuTop_exp4 = explode(",",$SDKv6_MenuTop_exp3[0]); $SDKv6_MenuTop_exp5 = explode(",",$SDKv6_MenuTop_exp3[1]); }{htmlspecialchars(trim($SDKv6_MenuTop_exp3[0]))}/{htmlspecialchars(trim($SDKv6_MenuTop_exp3[1]))}/{htmlspecialchars(trim($SDKv6_MenuTop_exp3[2]))}+/TITLE/+{htmlspecialchars(trim($SDKv6_MenuTop_exp2[1]))}+/CONTENT/+{htmlspecialchars(trim($SDKv6_MenuTop_exp1[1]))}+/END/+

{@ $c_SDKv6_menu_d++}{$c_SDKv6_menu_d}. 메뉴폭 수정
$SDKv6_colW_b라는 변수를 검색하여 숫자를 수정하시면 됩니다. (기본값 : 160) 주의하실 점은 메뉴의 폭변경시 레이아웃에서 설정되어 있는 로그인•아웃 폼의 설정이 어긋날 수 있는데, 이를 삭제하고 다른 위젯을 사용하신다면 상관없는 부분입니다.

{@ $c_SDKv6_menu_d++}{$c_SDKv6_menu_d}. 로그인 위젯을 변경하려면?
레이아웃에 셋팅되어 있는 로그인,아웃폼은 위젯이아닙니다. 다른 위젯을 사용할 분들은 아래의 주석부터
<!--// 레이아웃 로그인,아웃폼 출력S -->
아래의 주석까지 삭제후 위젯을 넣으세요.
<!--// 레이아웃 로그인,아웃폼 출력E -->

{@ $c_SDKv6_menu_d++}{$c_SDKv6_menu_d}. 셋팅되어있는 로그인폼(회원정보출력폼)
프로필 이미지
가로80, 세로80의 div안에 배경으로 가운데 정렬하여 출력하고 있으므로, 이미지의 크기때문에 프로필 이미지폼이 깨지거나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프로필 이미지의 높이가 다를 경우 설정되어있는 틀에 문제가 생기 때문에 크기를 고정해 놓은 것입니다. 변경하려면 많이 수정해야하므로 설명은 생략합니다. 프로필이미지의 크기가 마음에 안드시는 분들은 다른 위젯으로 대체해주세요 ^^
포인트 위젯 변경
아래의 주석을 찾아 오른편에 있는 위젯을 삭제 후 추가하세요.
<!--// 포인트위젯 -->
위젯코드는 아래와 같이 되어있습니다.
<img class="zbxe_widget_output" widget="point_status" skin="default" colorset="white" />

기본설정
출력하지 않음 • 출력 • 미리보기로 설정할 수 있으며, 미리보기인 경우 설정되어 있는 내용에 붉은색 선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출력 또는 출력하지 않음으로 변경시 사라집니다.

내용작성
스크롤바를 만들고 싶다던지, 정렬을 달리하고 싶으면 html 태그를 이용하여 작성해 보세요. 이 여백기능은 다른 설정은 전혀 없는 상태입니다. 권한을 주고 싶으면 아래의 주석들을 검색해 보세요.
<!--// 상단입력 -->
<!--// 왼쪽입력 -->
<!--// 오른쪽입력 -->
<!--// 하단입력 -->
설명드린 각 주석 아래에 있는 td안에 내용을 넣으면 됩니다 ^^

CSS
기본 css 를 수정하고자 한다면 _css/common.css문서를 열어 /* 상.하.좌.우 여분의 공간 */ 이 주석을 찾아 속성을 변경하시면 됩니다.